(15~21은 내가막넣은것) [포토세상] 한국의 전통 악기
본문 바로가기

우표 이야기

[포토세상] 한국의 전통 악기

편경 : 단단한 경석으로 만든 16개의 꺾어진 모양의 돌을 매어단 것으로 편종과 짝을 이룬다. 꺾어진 돌의 긴 쪽의 윗길이는 짧은 쪽의 그것의 약 1.5배에 해당한다. 높은 음의 돌일수록 그 비(比)가 적어진다. 그리고 긴 쪽은 반대로 그 광이 좁고 짧은 쪽은 넓으며 소리가 높을수록 돌의 두께는 더 두꺼워진다. 따라서 소리가 높으면 그 돌을 갈아서 얇게 하고 반대로 소리가 좀 눅으면 긴 쪽의 하단을 갈아내서 음을 조절한다. 연주할 때는 뿔 망치로 긴 쪽의 끝을 쳐서 소리를 낸다.

장고 : 장고는 그 허리가 가늘어서 세요고(細腰鼓)라고도 한다. 그 허리는 주로 나무로 만든다. 왼편 가죽은 두껍고 커서 소리가 눅고 오른편 가죽은 얇고 작아서 소리가 높다. 이 북의 음을 더 높이거나 눅이려면 새굴레를 좌우로 움직이어 줄을 따라서 가죽을 죄었다 누켰다 하여 조절한다. 주로 왼편 가죽은 왼 손바닥으로 치고 오른편 가죽은 채로 친다. 장고는 당악과 향악에 다 쓰이고 또한 농악과 무당음악에서도 사용된다. 그러나 농악과 무당음악에서는 양손에 채를 쥐고 친다.

당피리 : 당피리는 향피리, 세피리와 같이 관(管)대와 혀로 되어 있는 일련의 관악기이다. 길이는 7촌 8푼이어서 향피리보다 짧고 굵으며 불기에도 힘이 더 든다. 당피리는 현재 8개의 지공(指孔)을 가져서 향피리와 같고 다만 그 뒷구멍을 제1공으로 하지 않고 제2공으로 한 점에서 다를 뿐이다. 당피리는 주로 7음계의 당악에 사용되었고 대금, 해금, 장고, 북과 함께 삼현 육각을 이뤄 무용곡을 연주하고 혹은 독주도 하며 합주에서는 피리가 주선율을 주(奏)한다. 대금 대금은 그 관(管)의 길이가 2척 5촌 여에 달하며 일본 사꾸하찌보다도 훨씬 길고, 관악기 중에서는 제일 길다.

대금 : 대금은 취공(吹孔)1, 청공(淸孔)1, 지공(指孔)6, 칠성공(七星孔)5, 합계 13공을 가졌으며 그 지공 사이의 거리는 같다. 본래 대금은 삼국시대부터 있었고 한국에서 만들어진 것이니만치 향악 즉 한국음악에 거문고, 가야금, 향비파 등과 함께 사용되었지만 이조에 내려와서 당(唐)악기와 섞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

태평소 : 일명 쇄납, 또는 호적이라 하고 속칭 날나리라고 한다. 피리와 비교하면 그 혀가 더 작고 그 관이 원통형(圓筒形)이 아니고 원추형(圓錐形)인 점에서 다르다. 지공(指孔)은 전부 8이고 그 중 제2공은 뒤에 있어 당피리와 비슷하다. 그 음이 강하고 높은 이 태평소는 여말(麗末), 조선 초, 즉 14세기 말에 중국에서 들어와서 군중에서 취타악(吹打樂) 즉, 군대의 행진 등에 사용되었고 또 농민들에 의하여 농악에도 사용되고 있다.

나발 : 금속 관악기로 매우 길어서 이를 쓰지 않을 때는 셋으로 구분된 관을 아래로 밀어 넣어 짧게 할 수 있게 되었다. 나발은 아무 지공(指孔)도 없어서 낮은음만을 숨자라는 대로 길게 내불뿐이고 선율은 불지 못한다. 이것은 태평소, 소라, 바라, 징, 북과 함께 군악에만 쓰였다.

향비파 : 우리나라에 고유하던 비파를 향비파, 중국에서 건너온 것을 당비파라고 하는데 당비파는 구부러진 목과 4현을 가진데 대하여 향비파는 직두식(直頭式)으로 곧은 목과 5현을 가지고 있으며 거문고와 같은 괘(?) 10개(현재는 12개)를 가졌다.

월금 : 일명 완함(阮咸)이라고 하는데 복판이 둥글고 목은 길다. 그러나 중국에서는 목이 짧은 것을 월금이라 부르고 목이 긴 것을 완함이라 칭하여 그 둘을 구별한다. 향악에만 쓰이고 월금은 향악탈때 당비파와 같이 조현(調絃)된다. 이는 일찍이 고구려고분의 벽화에 보이나 고려사에는 언급되어 있지 않고 악학궤범에는 향악에만 쓰인다고 설명되었다.

가얏고 (가야금) : 가얏고 12줄은 안족(雁足) 위에 얹혀 있고 그 안쪽을 아래위로 옮겨서 음을 고른다. 가얏고의 모양에는 두 가지가 있으니 하나는 원래의 것으로 정악(正樂)에 쓰이는 풍류가얏고이고 또 하나는 후에 개조된 것으로 산조(散調)에 쓰이는 산조가얏고이다. 풍류가얏고의 복판은 넓고 따라서 줄과 줄새도 넓으며 그 끝은 양이두(羊耳頭)라고 부르는 돌출부가 있다. 산조가얏고의 복판은 좁고 줄과 줄새도 좁아서 빠른 곡을 타기에 편하다.

와공후 : 와공후는 수(隋)의 구부기(九部伎)의 기록에 의하면 고구려 음악에 수공후와 와공후를 썼다는 기록이 있다. 현재 국립국악원에 보유된 수공후, 와공후는 고(故) 함화진(咸和鎭) 아악사장(雅樂師長)이 1937년에 북경에서 사들인 것으로 그것이 무슨 본을 딴것인지 알 수 없다. 수공후는 21현, 와공후는 13현을 가졌으며 그 줄이 모두 명주실로 되어 미약한 소리를 내며 가로뉘어 놓고 뜯는 악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