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21은 내가막넣은것) '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11 Page)
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590)
[포토세상] 도자기 전시회 ONE
[포토세상] 세계문화유산 기념우표 한글 훈민정음과 세종대왕 기념우표 훈민정음과 세종대왕 및 조선왕조실록 전지우표 조선왈조실록 기념우표 "우리의 `훈민정음`, `조선왕조실록`이 1997년 10월 1일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록되었다. 세계기록유산은 각 나라의 주요문서나 필사본, 구비전승자료, 시청각자료 가운데 세계적으로 보존할만한 뛰어난 가치를 지닌 것으로 인정되어 국제목록으로 등재된 기록물로서, 유네스코는 1997년 처음으로 22개국의 38건을 세계기록유산으로 등록하였다. 백성을 일깨우는 글 - 훈민정음 조선 왕조 제4대 임금인 세종은 1443년에 백성들이 쉽게 글을 배워 사용할 수 있도록 독창적인 우리문자인 `한글`을 만들었다. 훈민정음(訓民正音)은 `한글`을 한문으로 해설한 책으로 1446년에 세종의 명을 따라 집현전 학자들에 의해 지..
[포토세상] 한글날 550돌 기념우표 한글반포 550돌 기념우표 한글반포 550돌 기념 전지우표 한글반포 550돌 기념시트 "올해 한글날은 세종대왕이 창제한 훈민정음을 반포한 지 550돌이 되는 뜻깊은 날입니다. 세종 28년 (1446년) 음력 9월 반포 당시의 상황을 세종실록 제 113권에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 달에이 이루어졌다. 어제(御製)에, '나랏말이 중국과 달라 한자(漢字)와 서로 통하지 아니하므로, 어리석은 백성이 말하고 싶은 것이 있어도 마침내 제 뜻을 잘 표현하지 못하는 사람이 많다. 내 이름 딱하게 여기어 새로 28자를 만들었으니, 사람들로 하여금 쉬 익히어 날마다 쓰는데 편하게 할 뿐이다.'」 위의 훈민정음 서문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세종대왕은 중국어와는 언어유형과 음운조직이 다른 우리말을 표기하는데 적합한..
[포토세상] 내고향 특별우표(홍인지문, 송파 산대놀이) 내고향 서을특별 홍인지문 내고향 서을특별 송파 산대놀이 홍인지문, 송파 산대놀이 전지우표 2002. 8. 2. ~ 8. 11.까지 서울 COEX에서 개최되는 필라코리아2002세계우표전시회를 맞이하여 지방의 국제적 상호관계를 강화시키고 우표전시회의 범국민적인 축제를 도모하기 위해 16개 광역단체와 연계하여 각 지방 자치단체의 전통문화와 개성을 대표하는 유무형 문화재를 특별우표로 발행한다. 내고향 서울 특별 - 흥인지문, 송파산대놀이 보물 제1호로 지정된 흥인지문(興仁之門)은 태조 5년(1396)에 창건된, 서울 성곽의 동쪽 문으로 문밖에 반원형의 옹성을 둘러 적의 침입에 대비하였다. 송파산대놀이는 200년 전 송파장(場)이 번성했던 시기 정월대보름과 단오, 백중, 추석등의 명절 때마다 행해졌던 탈놀이로, ..
[포토세상] 청송 주왕산 추경 청송 주왕산 대전사 청송 주왕산의 단풍이 아름답게 물들었습니다.대전사와 병풍바위 그리고 단풍의 자태가 매우 아름답습니다. 금년 가을의 단풍도 기다려 집니다.
[포토세상] 솟대 전시회 정의나무나 돌로 만든 새를 장대나 돌기둥 위에 앉혀 마을 수호신으로 믿는 상징물. 형태솟대는 삼한시대의 소도(蘇塗) 유풍으로서 ‘솟아 있는 대’로 인식하기도 한다. 세우는 목적에 따라 세 종류가 있다. 첫 번째 마을의 액막이와 풍농·풍어 등을 기원하여 세우는 일반적인 솟대, 두 번째 풍수지리상으로 행주형(行舟形)인 마을에 비보(裨補)로서 세운 솟대, 세 번째 급제를 기념하기 위해 세운 솟대인데, 첫 번째와 두 번째가 마을신앙과 긴밀하다. 솟대는 대체로 마을 어귀에 세워진다. 홀로 세워지기도 하지만 장승과 함께 세워지거나 장승과 탑이 있는 곳에 함께 세워지기도 한다. 솟대의 새 모양은 Y 자형 나뭇가지로 만들거나, 기역(ㄱ) 자형 나뭇가지를 머리와 목으로 여겨서 Y 자형 나뭇가지나 넓적한 나무판에 연결하여..
[포토세상] 필라코리아 2009년 세계우표전시회 기념우표 아시아인의 우표 축제인 필라코리아 2009 제24회 아시아국제우표전시회가 2009년 7월 30일부터 8월 4일까지 6일간 서울 코엑스 전시장에서 개최된다. 1984년과 1994년, 2002년의 필라코리아 세계우표전시회에 이어 개최되는 이번 필라코리아 2009는 한국에서 처음으로 개최되는 아시아우표전시회로 역사적, 지리적으로 깊은 협력관계를 맺어온 아시아 국가가 서로의 우표문화를 교류하며 우의를 다질 좋은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필라코리아 2009에는 아시아 지역의 30개국이 참가하여 1,500여 틀의 우표작품을 선보이게 되며 제17차 아시아우취연맹(FIAP) 총회와 집행이사회도 함께 개최된다. 필라코리아 2009의 성공적인 개최를 기원하며 한국의 민속춤을 소재로 한 기념우표 4종을 발행한다. ..
[포토세상] 아흔아홉 번 손질 전통방식 그대로 7대째 한지 가업 이어 무형문화재 청송 한지장 기능 보유자인 이자성씨가 완성된 한지를 꼼꼼히 살펴보고 있다. 3년생 미만의 토종 참닥나무를 찌고, 두드리고, 말리는 등의 과정을 거쳐 완성된 청송한지는 질기고 윤이 나며 오래 사용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자성 청송 한지장이 한지뜨기(초지)를 하고있다. 초지는 한지의 두께와 섬유 방향이 결정되는 중요한 작업이다. 한지뜨기 작업 뒤 어느 정도 물이 빠진 종이는 한 장씩 떼어내 열판에 붙여 건조시키는 과정을 또 거친다. 한지. 닥나무를 베어 찌고, 삶고, 말리고, 벗기고, 다시 삶고, 두들기고, 고르게 섞고, 반듯이 뜨고, 정갈히 말리는 아흔아홉 번의 손질을 거쳐 태어난다고 한다. 그리고 마지막 사람이 백 번째로 만진다 하여 옛사람들은 한지를 ‘백지(百紙)’라 부르기도 했다. 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