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21은 내가막넣은것) [포토세상] 영화는 추억이 되고, 포스터는 예술이 된다
본문 바로가기

문화 이야기

[포토세상] 영화는 추억이 되고, 포스터는 예술이 된다



봉준호 감독조차 ‘기생충’ 포스터의 의미를 몰랐다. 포스터 제작을 맡은 김상만 감독이 배우들의 눈을 가린 건 관객이 객관적인 시선으로 영화를 보길 원했기 때문. 시나리오를 읽자마자 김 감독은 인간관계의 균열과 상류층의 삶을 세련되지만 건조하게 담은 데이비드 호크니, 에릭 피슬의 회화를 떠올렸다. 물론 유명 배우들의 눈을 가린다는 부담도 컸다. 


해외에서도 회자된 이 포스터는 미국, 일본, 베트남의 여러 극장에 그대로 걸렸다. 배경은 다르지만 눈을 가린 콘셉트는 프랑스에서도 유지됐다. 김 감독은 “칸에 가기 전 만난 봉 감독은 포스터를 굉장히 마음에 들어 했다. 그럼에도 눈을 가린 이유에 대해선 단 한 번도 묻지 않았다”고 전했다. 


과거, 영화의 부속물 정도로 취급됐던 포스터가 하나의 작품으로 인정받는 사례는 비단 ‘기생충’뿐만이 아니다. 온라인에서는 국내외 포스터들을 모아 놓고 품평(?)하는 문화가 자리 잡았다. 그만큼 업계에서는 “관객들 눈높이가 높아졌다”는 말들이 많다. 소규모 인원으로 포스터를 제작해 온, 10개 내외 국내 디자인업체들의 위상도 달라지고 있다.


장르나 분위기를 주로 담는 해외 포스터와 달리, 그간 국내에서 개봉한 영화들은 배우 얼굴을 클로즈업한 ‘얼굴빵’ 포스터가 유독 많았다. 배우 인지도에서 오는 티켓파워나 소속사, 배급사, 제작사 등 논의 과정에서 “직관적인 이해가 중요시됐기 때문”이다. 공유, 정유미, 마동석 등 배우들이 뛰고 있는 ‘부산행’(2016년) 포스터는 해외로 가면서 폐허가 된 부산역 전경으로 바뀌었다.



[자료출처 동아일보 원문보기]

http://www.donga.com/news/article/all/20191106/98231909/1